[테마주] 메타버스(metaverse) 관련주 총 정리 (최신ver.)

2021. 7. 7. 11:44함께 공부해요/테마(섹터)별 관련주

메타버스(metaverse) 또는 확장 가상 세계는 가상·초월(meta)과 세계·우주(universe)의 합성어로, 3차원 가상 세계를 뜻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치·경제·사회·문화의 전반적 측면에서 현실과 비현실 모두 공존할 수 있는 생활형·게임형 가상 세계라는 의미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 선익시스템 :  메타버스를 구현하는 AR/VR 등 고해상도용 마이크로 OLED(OLEDoS) 증착기 시장에서 양산용 300mm 웨이퍼 증착장비를 납품.

 

 

 

- 엠게임 :  게임소프트웨어 개발/공급 업체로 VR관련 기술 연구 및 VR 관련 모바일 게임 개발. 과거 메타버스 최대 수혜주인 유니티와 플랫폼 제공 관련 마스터 라이선스 협약 체결.

 

 

- 한빛소프트 :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 기술 개발에 지속적인 투자를 진행중. 20년7월 코드리치, HM솔루션과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서울올릭핌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과 '가상현실(VR) 스포츠교실 통합 플랫폼 서비스' 제공을 위한 계약 체결.

 

 

 

- 칩스앤미디어 :  비디오 분야에 특화된 반도체 IP(설계자산) 전문업체로 가상현실(VR) 기기에 탑재되는 주요 코덱 기술 보유.

 

 

 

- 씨엠에스에듀 :  글로벌 실시간 3D 개발 플랫폼 제작 기업인 유니티 테크놀로지스와 글로벌 인터랙티브 교육 플랫폼 계약 체결을 통해 유니티 엔진 기반의 실시간 인터랙티브 코딩교육 플랫폼 '코드얼라이브'를 정식 출시했음. 코드얼라이브를 통해 학습자가 코드를 입력하면 3D 아바타와 동물, 사물 등의 개체가 즉각 반응하며 작업 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중임.

 

 

 

- 알체라 :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를 서비스하는 네이버제트의 모회사 스노우가 동사의 최대주주.

 

 

 

- 와이제이엠게임즈 :  VR게임 제작 등 VR 사업 영위. 관계사인 (주)원이멀스에서 개발한 'Kart Chaser'와 스튜디오에이치지와 공동개발한 'Smashing the Battle VR'을 서비스 중. 일본 상장사인 구미社 와 합작법인을 세우며 VR콘텐츠, 솔루션 개발을 위한 엑셀레이터 프로그램인 서울엑스알스타트업스(주)를 운영. '카지노피아 : 더 블랙잭', '인페르노:데스필드' 등의 VR 게임을 출시.

 

 

 

- 이랜텍 :  과거 미래창조부 국책과제로 진행된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을 구현하는 첨단 스마트안경 단말기 연구사업 개발에 참여, 관련 기술을 축적.

 

 

 

- 지니뮤직 :  19년 가상형 실감음악 VR 서비스인 '버추얼 플레이'를 공개하는 등 VR/AR 콘텐츠 사업을 영위. 20년 최대주주인 KT가 중국 1위 통신사 차이나모바일의 자회사 미구와 콘텐츠 판매 계약을 체결. 21년3월 텐센트와 VR 콘텐츠 개발 사업 진행중.

 

 

 

- SK텔레콤 :  혼합현실 플랫폼 '점프VR'를 통해 콘텐츠를 제공중임. 21년3월 점프VR을 통해 메타버스 공간에서 순천향대 2021년 신입생 입학식을 진행.

 

 

 

- 비비안 :  AR(증강현실)과 VR(가상현실) 콘텐츠 플랫폼 업체인 유니티테크놀러지스와 총판 계약을 체결한 (주)인피니티엔티(구, (주)포비스티앤씨)의 최대주주인 점이 시장에서 부각.

 

 

 

- NAVER :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zepeto)를 서비스하는 네이버제트가 동사의 손자회사.

 

 

 

- 주연테크 :  PC 완제품을 제조 및 유통, 수출입업 및 태블릿PC 판매 업체로 과거 마이크로소프트(MS)가 혼합현실(MR) 플랫폼 확대 및 생태계 조성 당시 혼합현실 헤드셋 파트너사로 선정된 바 있음.

 

 

 

- 에이트원 :  방위산업에 속하는 무기체계의 VR/AR기반 훈련용 시뮬레이션, 종합군수지원 개발사업 등 국방 솔루션 및 하드웨어(산업용 및 국방/항공분야) 부품을 개발하여 공급중. 21년2월 자체 개발한 실생활 영어학습 VR(가상현실) 콘텐츠 'VR 뉴욕스토리(VR NEW YORK STORY)'를 글로벌 플랫폼 스팀을 통해 정식 유통. 21년3월 XR(확장현실) 콘텐츠 유통 플랫폼 구축을 목적으로 가상현실(VR) 플랫폼 전문기업 '브이알루'와 업무협약(MOU) 체결.

 

 

- 에스코넥 :  휴대폰 내외장재 금속부품 제조/판매 업체로 과거 삼성전자의 '기어VR'에 금속 부품을 공급한 바 있음.

 

 

 

- 코세스 :  메타버스 구현에 필요한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에 필수인 마이크로LED의 핵심장비로 꼽히는 리페어 장비 제작기술을 보유.

 

 

 

- 옵티시스 :  동사가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디지털광링크 기술이 메타버스 수혜를 볼 것으로 기대되며 시장에서 부각. 디지털광링크 기술은 대용량 비디오, 오디오 신호를 손실없이 선명하게 전송하는 기술로, 메타버스의 체감 몰입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핵심기술로 알려짐.

 

 

 

- 자이언트스텝 :  AI기반 리얼타임 콘텐츠 솔루션 전문업체. 국내 유일하게 Disney Audit(2016), Netflix 4K 기술 test(2018), TPN(Trusted Partner Network)의 보안평가프로그램(2019)을 모두 통과한 VFX기업으로, 광고VFX 및 영상VFX, 리얼타임 콘텐츠 솔루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 VFX 기술을 기반으로 메타버스의 핵심인 실감형 콘텐츠를 잘 구현해낼 기술 역량을 확보하고 있음.

 

 

- 위지윅스튜디오 : 2021년3월 자회사 엔피, XR(확장현실) 스테이지 오픈식 진행. 엔피는 XR 스테이지를 통해 3차원 가상 세계로 현실과 비현실을 아우르는 메타버스에 차별화된 기술을 제공할 예정. XR 스테이지는 버추얼 프로덕션 테크놀러지를 기반으로 디지털 세계와 물리적 세계를 연결하는 구조임.

 

 

 

- 현대차 :  21년5월 메타버스 관련 산업계와 협회 등을 중심으로 결성한 '메타버스 얼라이언스(metaverse Alliance)'에 참여. 

 

 

 

-  KT : 21년 5월 메타버스 관련 산업계와 협회 등을 중심으로 결성한 '메타버스 얼라이언스(metaverse Alliance)'에 참여.

 

 

- LG유플러스 :  21년 5월 메타버스 관련 산업계와 협회 등을 중심으로 결성한 '메타버스 얼라이언스(metaverse Alliance)'에 참여.

 

 

- SBS :  21년 5월 메타버스 관련 산업계와 협회 등을 중심으로 결성한 '메타버스 얼라이언스(metaverse Alliance)'에 참여.

 

 

 

- CJ ENM :  21년 5월 메타버스 관련 산업계와 협회 등을 중심으로 결성한 '메타버스 얼라이언스(metaverse Alliance)'에 참여.

 

 

 

- iMBC : 21년 5월 메타버스 관련 산업계와 협회 등을 중심으로 결성한 '메타버스 얼라이언스(metaverse Alliance)'에 참여.

 

 

 

-  카카오 : 계열사 카카오엔터테인먼트(Kakao Entertainment), 21년5월 메타버스 관련 산업계와 협회 등을 중심으로 결성한 '메타버스 얼라이언스'에 참여.

 

 

 

- 넵튠 :  21년5월 VR 메타버스 플랫폼 개발사 맘모식스(Mammo6) 지분 55.7%를 확보하며 경영권 인수.

 

 

 

- 덱스터 : 21년6월 크레마월드와이드와 '뉴미디어 광고 홍보 콘텐츠에 대한 전략적 협업 관계 구축'을 위한 MOU를 체결. 동사와 크레마월드와이드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메타버스 기반 실감형 영상 공동 개발 및 투자 사업 등을 공동 추진할 예정. VR/AR, XR과 실감 콘텐츠, 테마파크, 디지털 휴먼 제작 등 뉴미디어 영상을 기획, 제작하는 사업을 영위중.

 

 

 

[메타버스 얼라이언스 참석 기업 리스트]

- 현대차 (005380)
- KT (030200) 
- LG유플러스 (032640)
- SBS (034120) 
- CJ ENM (035760)
- iMBC (052220) 
- 카카오 (035720)

 

 

 


※ 본 블로그의 모든 게시물을 무단으로 도용, 재가공, 무단 배포하는 행위를 금지합니다.
협의 없이 무단으로 사용할 경우 저작권법 위반으로 사전 경고 없이 손해배상 청구와 민/형사상의 책임과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