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주] 스마트그리드(Smart Grid, 지능형전력망) 관련주 총정리 (최신ver.)

2021. 7. 17. 16:20함께 공부해요/테마(섹터)별 관련주

스마트그리드(Smart Grid, 지능형전력망)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는 전기의 생산, 운반, 소비 과정에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하여 공급자와 소비자가 서로 상호작용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인 지능형 전력망 시스템

전력망에 정보기술(IT)을 접목하여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 사이에 양방향으로 전력사용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

이와 같이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전력사용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차세대 에너지 신기술임.

관련 종목 군은 원격검침시스템 기술 보유업체와 계량기 생산업체, 송배전 전력망 관련 사업 영위 업체들임.

 

 

스마트그리드 개념도

 

 

스마트그리드 이해

 

 

스마트그리드 테마 기업 시가총액 순위

 

 

 

피에스텍 (002230) 

전력기기 사업(각종 전력량계 및 원격검침시스템 생산, 판매)과 자동차 부품사업(FAN모터, Wiper모터 등 자동차용 소형 모터 제조) 등을 영위하는 업체. 

가정용·산업용 전력량계 등 전력기기 사업부문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 

2009년 12월 정부 정책사업인 스마트그리드 시범단지인 제주 실증단지 사업에 LG전자 컨소시엄(스마트 플레이스 분야)과 한전 컨소시엄(GPS 시간 교정 시스템)에 참여. 

11년 6월 한국전기연구원(KERI)과의 공동 연구로 전기자동차 인프라 구축을 위한 급속 충전기의 상용화 개발 완료. 

전기/태양광발전 사업을 영위하는 피에스파워(주)를 종속회사로 보유.

최대주주는 (주)풍성 외(50.19%) Update : 2021.07.13

 

 

 

 


누리플렉스 (040160) 


IoT(사물인터넷) 기반의 AMI(지능형 검침 인프라) 전문업체. 

통신 SW 기반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IoT(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검침 인프라(AMI) 솔루션을 주력사업으로 다양한 응용사업 

즉, 스마트그리드 및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마이크로 그리드 구축사업을 중점적으로 공급. 

AMI 기반 에너지관리시스템(EMS)과 AMI 기반 에너지저장장치(ESS), 전자태그(RFID)시스템, 전산자원통합관리시스템(NASCenter) 사업 등도 영위.

최대주주는 NuriFlex Holdings Inc. 외(38.02%) 

상호변경 : 누리텔레콤 -> 누리 플렉스(21년 4월) Update : 2021.07.14

 

 

 

 

 

옴니시스템 (057540) 


디지털 전력량계(전력량 측정), 디지털 설비미터(수도, 온수, 가스, 난방량 측정), 원격검침시스템 사업 영위업체. 

스마트그리드 사업도 영위하고 있으며, 2013년 6월 신용카드 제조회사인 이너렉스를 흡수 합병해 신용카드 제조업도 영위.

원격검침이 가능한 디지털 전력량계를 국내 최초로 개발.

최대주주는 ㈜바이오스마트 외(24.91%) Update : 2021.07.07

 

 

 

 

 

 

광명전기 (017040)


중전기 전문 제조업체로 수배전반 가스절연 개폐장치(GIS) 등을 생산, 판매. 

동사의 제품들은 빌딩과 대규모 플랜트에서 원자력발전소에 이르기까지 전력이 공급되는 모든 건물에 설치, 운영 중. 

태양광발전시스템 시공 사업도 영위. 코스닥 상장사 피앤씨테크(주)지분 보유.


피앤씨테크와 함께 스마트그리드 구축 및 사업화를 위한 TFT를 구성하여 활동 중. 

피앤씨테크는 전력 IT 전문 기업으로 모든 제품이 통신 모듈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등 스마트그리드의 핵심 기술력을 보유.


최대주주는 이재광 외(31.80%) Update : 2021.06.18

 

 

 

 

 

LS ELECTRIC (010120)


LS그룹 계열의 전력기기 및 시스템 제조/공급 업체. 

전력사업(저압기기, 고압기기, 계량기, 계전기, 초고압, 배전반, 진단 등), 자동화 사업(PLC, INVERTER, 자동화 시스템, 빌딩 자동화, 철도시스템 등) 등을 영위. 

스마트그리드, 태양광, HVDC(초고압직류송전), 친환경 전력기기, 전기차 전장부품 등의 그린에너지 사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육성중. 

금속사업(동관, 스테인레스관) 등을 영위하는 LS메탈을 주요 종속회사로 보유.

최대주주는 (주)LS 외(48.25%)

주요 주주는 국민연금공단(12.51%)

상호변경 : LS산전 -> LS ELECTRIC(20년 4월) Update : 2021.06.09

 

 

 

 

 

일진전기 (103590)


일진그룹 계열의 종합 중전기 제조업체. 

각종 전선(초고압전선, 중고압전선 등), 전력기기(개폐기, 변압기 등)를 전문적으로 제조, 판매. 

전선사업부는 국내 전선시장에서 LS전선 및 대한전선 등에 이어 3~4위권의 시장지위를 확보하고 있음.

한국철도공사와 15억 원 규모의 지능형 원격검침시스템(AMI) 구축 계약을 체결한 바 있음. 

제주도 스마트그리드 실증사업단지에서 진행되고 있는 스마트 플레이스 등에 참여기업으로 사업을 수행.

최대주주는 일진홀딩스(주) 외(59.73%) Update : 2021.07.14

 

 

 

 

 

 

일진홀딩스 (015860)


일진전기(전력선/중전기기 제조), 일진다이아몬드(공업용 합성다이아몬드 제조), 일진디앤코(부동산 임대), 알피니언메디칼시스템(주) 등을 자회사로 보유한 일진그룹의 지주회사.


 스마트그리드 사업을 영위하는 일진전기를 자회사로 보유한 일진그룹의 지주회사.


최대주주는 허정석 외(56.0%) 

 

 

 

 

 

 

코콤 (015710)


스마트 홈 시스템(IoT/홈 네트워크 시스템, 홈 오토메이션), 비디오 도어폰, 도어폰, 인터폰, CCTV 시스템, SI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음성으로 홈네트워크 주요 기능을 제어하는 월 패드 등을 개발해 상용화에 성공. 

코콤 홈 메니져라는 애플리케이션을 자체 개발하여 스마트 홈 시스템(IoT)을 상용화.


정부의 스마트그리드 사업 활성화로 가정內 에너지 효율 모니터링을 위한 홈네트워크 분야의 시장 확대가 기대됨.


최대주주는 고성욱 외(63.46%) 

상호변경 : 한국통신 -> 코콤(01년 3월) Update : 2021.06.02

 

 

 

 

 

 

 

비츠로셀 (082920) 


업계 상위 리튬일차전지 제조업체. 

리튬일차전지 중 가장 시장이 큰 Li/SOCl2 전지(리튬염화티오닐 전지)와 Li/MnO2(OEM) 전지(리튬망간전지) 분야를 주 사업영역으로 하고 있으며, 

주력 제품인 리튬염화티오닐 전지는 디지털미터기, RFID, 통신기기, GPS, 군용 장비 등에 사용됨. 

스마트그리드 시장 성장으로 계량기에 사용되는 전지 수요 증가 예상.

최대주주는 비츠로테크 외(38.7%) 

상호변경 : 테크라프 -> 비츠로셀(02년 6월) Update : 2021.06.30

 

 

 

 

 

 

 

포스코 ICT (022100)


POSCO가 설립한 IT서비스 사업 및 엔지니어링 사업 영위업체. 

철강 사업 분야의 본원 경쟁력 강화를 위해 IoT, AI, 빅데이터 분석 역량 등을 기반으로 제철소의 Smart Factory 구현 추진.


지식경제부 주관의 스마트그리드 제주 실증단지에 참여하여 Smart Renewable 분야의 기술을 실증, 구현.


최대주주는 (주)포스코 외(66.16%) 

상호변경 : 포스데이타 -> 포스코 ICT(10년 1월) Update : 2021.05.24

 

 

 

 

 

 


이글루시큐리티 (067920) 


통합보안관리솔루션(ESM) 및 보안관제서비스(MSS) 등을 제공하는 정보보안관리 전문업체.

국가 핵심 기간망(국가정보자원관리원, 우정사업정보센터 등)의 보안관제/분석 업무를 제공하고 있으며, 

주요 핵심 공공기관(국회사무처, 외교통상부 등) 및 금융권/대기업(BC카드, KT 그룹 등)에 파견관제서비스를 제공 중. 

제주도 실증단지 스마트그리드 컨슈머 분야 컨소시엄에 참가해 보안관제 전반적인 부분을 담당. 

국내 공공기관 최초의 인공지능 기반 사이버침해 시스템인 '대구 AI기반 지능형 보안관제 체계(D-Security)’ 구축 프로젝트 총괄 사업자로 선정되어 18년 초 구축을 완료.

최대주주는 이득춘 외(22.18%)

주요 주주는 (주)에스원(11.00%) Update : 2021.06.14

 

 

 

 

 

 


스맥 (099440) 


기계 및 통신사업 영위 업체. 

기계사업부문은 공작기계(중소형 CNC선반, 머시닝센터 등) 및 관련 부품, 산업용 Robot의 제조/판매 등을 영위. 

ICT 사업부문은 Gateway를 전문으로 개발. 

2013년 삼성전자의 동반성장 지원사업을 통해 3D 프린터 관련 기술인 레이저 열처리 장비 개발에 성공.


 스마트그리드 제주실증단지 사업 Smart Place 분야의 KT컨소시엄, 한전컨소시엄 두 곳에 함께 참여하고 있으며, 

2009년 12월부터 동 컨소시엄과 함께 스마트그리드 사업을 진행.


최대주주는 이지운, 이다원 외(15.33%) 

상호변경 : 운상정보통신 -> 뉴그리드테크놀로지(00년03월) -> 뉴그리드(10년03월) -> SMEC(11년7월) -> 스맥(14년4월) Update : 2021.07.07

 

 

 

 

 

 

 

 

CS (065770) 


이동통신중계기 및 WiBro(휴대인터넷) 중계기 전문 통신장비 업체. 

전파 음영지역에서 미세한 기지국 신호를 증폭하여 재 방사하는 이동통신중계기 부문을 주력사업으로 영위 중. 

2012년부터 4G(LTE) 서비스에 맞춰 소형 기지국 장비 RRH(Remote Radio Head)와 2013년과 2016년 주파수 재배치에 따른 Revision 중계기 등을 개발하여 이동통신사업자 등에 공급. 

국내 사업은 SKT를 주거래선으로 하며, 일본, 유럽, 미국 업체에도 제품 공급 중.

지그비 라우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및 원격 전력공급 제어장치를 개발 및 공급한 바 있음.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인 제주도에 시범설치 운영 사업자.

최대주주는 정흥식 외(29.59%) 상호변경 : C&S마이크로 -> CS(10년 4월) Update : 2021.07.09

 

 

 

 

 

 

 


한전산업 (130660) 


발전사업(연료, 탈황, 회처리 운전 및 정비 등)과 기타 사업(인터넷빌링, ESCO, ESS, 태양광 등) 등을 영위하는 업체. 

스마트그리드 보급사업(지능형 전력량계, AMR서버 등) 진행. 

스마트그리드 보급지원사업에 참여, 디스플레이 장치 중의 하나인 IHD 보급사업자로 2010년, 2011년에 각각 4,528세대, 5,600세대에 대한 IHD 보급을 완료하였음. 

2012년 5월에는 KT와 함께 2012년 스마트그리드 보급사업자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어 스마트그리드 사업단과 협약 체결. 

18년 상반기 한국 환경공단에서 발주한 태양광과 ESS를 이용한 친환경 전기차 충전소 구축 실증사업 수주.


최대주주는 한국자유총연맹(31.00%)

주요 주주는 한국전력공사(29.00%) Update : 2021.06.15

 

 

 

 

 

 


삼화콘덴서 (001820)


국내 유일의 콘덴서 종합 메이커로 관계사인 삼화전기가 생산 중인 전해콘덴서를 제외한 거의 모든 콘덴서를 생산.

주요 제품으로 전력용 콘덴서, 세라믹 콘덴서, 적층 콘덴서(MLCC), Chip Inductor 및 핵융합 관련 핵심부품 등. 

한국전력공사 제주실증단지 구축사업 컨소시엄에 참여한 바 있으며, 스마트그리드 관련 전력용 콘덴서를 개발. 

신규사업으로 배터리 커패시터 개발 중.

최대주주는 오영주 외(28.15%), 국민연금공단(7.99%) Update : 2021.07.06

 

 

 

 

 


인스코비 (006490)


MVNO(알뜰폰) 사업, 스마트그리드(지능형 검침 인프라 시스템 등), 시계 제조 및 유통 등을 영위 중. 

PLC칩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 등을 영위하는 (주)아이엔에스 흡수합병. 

바이오 신약 사업을 진행 중인 관계사 아피메즈(주) 및 ㈜셀루메드 지분 보유 중.


스마트그리드의 핵심기술인 PLC칩 원천기술을 보유한 아이엔에스를 합병한 바 있으며, 한국전력 스마트그리드(AMI) 사업의 정부 정책에 맞춰 사업을 진행 중.


최대주주는 밀레니엄홀딩스(주) 외(11.11%) 

상호변경 : 비티아이 -> 로엔케이(08년 4월) -> 씨앤 피로엔(15년 4월) -> 인스코비(15년 7월) Update : 2021.07.02

 

 

 

 

 

 

피앤씨테크 (237750)  


전력계통의 배전분야에서 정전을 최소화하고, 안전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디지털 전력기기를 생산하는 전력 IT 전문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배전자동화 단말장치(FRTU/FTU), 디지털 보호계전기, 원격감시제어시스템, 고장 점표 정장치, 전자식 전력량계, 자동소화장치 등이 있음.

최대주주는 (주)광명전기 외(44.83%) Update : 2021.07.08

 

 

 

 

 


아이앤씨 (052860) 


팹리스(Fabless) 반도체 업체. 

스마트 에너지 사업(한전 AMI, 민수 AMI, LED조명제어), 무선사업(IoT, Wi-Fi 칩&모듈), 멀티미디어 사업(Mobile TV, Digital Radio), 전기화재방지 사업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정부에서 주도하여 시행 중인 스마트그리드 확산 시범사업의 사업시행자인 한전컨소시엄에 참여하여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AMI 구축용 PLC 모뎀과 DCU를 공급.

최대주주는 박창일(30.21%) Update : 2021.06.21

 

 

 

 

 

 

서전기전 (189860) 


고압/저압 수배전반, 전동기제어반, 자동제어반을 제조 및 판매. 

주상변압기로부터 전력을 받아(수전반), 변압기를 통해 사용 가능 전압으로 변환 후 사용처로 배분하는(배전반) 설비 및 해당 전력기기를 생산. 

주요 제품은 고압의 전력을 저압으로 변환하는 변압기, 전력량을 측정하는 계량기와 이상상태를 감지하는 계전기, 계전기의 신호로 인해 전력을 차단하는 차단기 등.

스마트그리드 시스템 사업 영위 중.

최대주주 홍춘근 외(45.29%) Update : 2021.07.08

 

 

 

 

아모그린텍 (125210)


첨단소재와 기능성 부품 및 환경/에너지 시스템 사업 등을 영위하는 소재부품 업체. 

주요 사업은 고효율 자성소재와 방열 및 Nano Membrane 소재를 기반으로 하는 첨단소재부문, FPCB/박막필름/Flexible Battery 등을 개발하는 기능성 부품 부문, ESS/Metallic Convertor/수처리/공기청정 및 환기시스템 등을 개발하는 환경 에너지 시스템 부문 등을 영위.

고효율 자성소재를 이용한 주력 제품은 전기차 등의 파워 모듈에 사용되는 Powder Core, 스마트 미터의 핵심부품인 전류센서의 CT(Current Transformer), 전기회로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 제품인 CMC(Common Mode Choke) 등. 

주요 고객사로 삼성전자(갤럭시 시리즈에 방열 Sheet 공급), Tesla, LEAR, 현대모비스 등.

스마트그리드 등에 다양한 응용제품으로 사용되는 고효율 자성소재를 자체 개발. 


최대주주는 김병규 외(60.80%), 

주요 주주는 미래에셋자산운용(주)(10.38%), 국민연금공단(5.05%) Update : 2021.06.30

 

※ 본 블로그의 모든 게시물을 무단으로 도용, 재가공, 무단 배포하는 행위를 금지합니다.
협의 없이 무단으로 사용할 경우 저작권법 위반으로 사전 경고 없이 손해배상 청구와 민/형사상의 책임과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